[해외직구] 구매대행업 업종코드 신설 525105 코드 해외직구 구매대행 업종코드신설 기존에 해외직구 업종코드는 명확하게 구분이 되어있지 않아서 749609 코드를 사용하였는데 2020년에 해외직구 구매대행 업종코드가 신설 되었습니다. 해외직구 업종코드 : 525105 해외직구 구매대행 사업자분들 신고업무시 위 업종코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외직구 구매대행과 관련하여 궁금하신부분은 기존포스팅 참고하시고요 해외직구 구매대행업 포스팅보러가기(클릭) 상담신청바로가기 즉시상담 동서회계법인 가문성 실장 010-4024-0740 업종별세무실무/구매대행업 2년 전
해외직구대행업 업종코드 및 직구대행매출집계 샘플자료 업종코드 525101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온라인 통신망(사회관계망서비스(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채널은 제외한다)을 통하여 각종 상품을 소매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사회관계망서비스)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구축해주는 온라인 서비스(페이스북, 트위터 등) (예시) ·상품 전자상거래 판매(오픈마켓 판매자 포함) ·전자상거래 소매중개 및 소셜커머스(525103) ·SNS마켓(525104) ·제조 사업체가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제조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해당 제품 제조업으로 분류 ·도매 사업체가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사업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도매하는 경우 도매업으로 분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직접 소매하는 일정 매장을 운영하면서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소매를 병행하는 경우 52.. 업종별세무실무/구매대행업 3년 전
해외직구 구매대행업 온라인 오픈마켓 부가세신고 #해외직구 #구매대행업 #온라인오픈마켓 메출에 대한 집계 및 부가세신고에 대해서 최대한 간단명료 하면서 알기쉽게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외직구 구매대행업이란??" 말 그대로 고객대신에 해외에서 재화를 직접구매하여 온라인 오픈마켓인 네이버, 필웨이등 을 통해서 판매대행을 하는 업종입니다. 즉, 재화를 매입하여 재고를 두지 않고 판매대행수수료만을 수익으로 인식해야합니다. "일반 도소매업처럼 매출집계하면 안되나요??" 일반적인 소매업처럼 매출신고를 하게되면 총액으로 매출집계를 하기때문에 간이사업자의 경우에는 년간매출금액 4,800만원이 쉽게 넘어가 일반 과세사업장으로 변경될 수 있고 해외에서 구매한 재화의경우 매입세액을 인정받기 어려워 그렇게되면 매입세액 부족으로 과도한 부가세 세부담이 있을 수 있.. 업종별세무실무/구매대행업 5년 전